이종호 시력.노안연구소

밝은세상안과 이종호 시력.노안연구소

  • 비젼
  • 씨니어
  • 논문
  • 연구
  • 출판
알림마당-공지사항 목록
제목 망막분지정맥 폐쇄에 의한 황반부 부종에 있어서 황반부 격자형 광응고술
발행 2010.11.27 첨부파일




망막분지정맥 폐쇄에 의한 황반부 부종에 있어서 황반부 격자형 광응고술의 치료효과 및 임상적 고찰


 


- 요약 -망막분지 정맥폐쇄증은 전신적 혈관질환과 관계되는 망막질환이다. 저자들은 1990년 5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본 병원안과에 내원한 환자 중 검안경검사, 형광안저 촬영술 시행 후, 망막분지 정맥폐색으로 진단받은 환자 98명, 103안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나이, 관련질환 유무, 시력회복 정도를 알아보았으며, 형광안저 조영술을 실시하여 정맥폐색의 형태, 부위, 폐색으로 인한 허혈범위, 황반부 모세혈관 상태를 관찰하였고, 아울러 황반부 부종 및 망막비관류 부위에 레이저 치료로서 Grid와 Scatter photocoagulation을 시행하여 그 치료 효과를 살펴 보았다.대상 환자의 평균연령은 54세 였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약 54%로서 약간 많았고, 정맥분지폐색의 발생부위는 상이측 분지가 55.3%로 가장 많았고, 연관되는 전신질환은 고혈압이 60%에서 동반되었고, 레이저 치료안에서 황반부 허혈정도에 다른 시력변화는 황반부허혈이1/2미만인 경우에서 시력의 개선정도가 좋았다. 합병증으로는 황반부 부종이 76안, 망막 신생혈관생성이 8안, 초자체 출혈이 7안에서 발생하였으며, 103안의 망막분지정맥 폐쇄 환자 중 황반부 부종이 있어 황반부 격자형 광응고치료 후 3개월 이상 추적 관찰했던 41안에서 시력개선이 19안(46.3%), 시력변화 없음이 18안(43.9%)였고, 4안(9.8%)에서 시력감소를 보였다.(한안지 35 : 1306 ~ 1312, 1994)Branched Retinal Vein Occlusion(BRVO) is related to systemic vascular dis-ease. From May 1990 to Dec 1992, Authors have experienced 98 patients(103eyes) who were diagnosed by indirect ophthalmoscopy and fluorescein angiogra-phy as BRVO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eye departement during the same period.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in aspect of distribution, associated findings, visual recovery, status of occlusion and macular non-perfusion, the effect of laser photocoagulation.The average age of affected patients was 54 years old. Female were 54% Most common affected site was the superior temporal branch of retinal vein(55.3%). The most common systemic disease associated with BRVO was hypertension(60.2%). The visual acuity changes of laser treated eyes according to macular nonperfusion were showed the improvement in case below an half. The most common sequele was macular edema(83.5%). 41 BRVO eyes with anc-ular edema were treated with Krypton or Argon green laser grid photocoagula-tion and/or Argon laser scatter photocoagulation. After these laser treatment, 90.2% of BRVO eyes with macular edema were stationary and improved in visual acuity(J Korean Ophthalmol Soc 35:1306~1312, 1994)